메뉴 건너띄기
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

청주상공회의소

경제정책정보

경제정책정보 상세보기
제목 2023년 『청년(20∼39세) 한부모가구의 사회·경제적 특성 분석』
출처 행정통계과 작성일 20250918
첨부파일

2023년 『청년(20∼39세) 한부모가구의 사회·경제적 특성 분석』 주요 결과입니다.

1. 20∼39세 청년 「한부모가구」 현황 
□ (한부모가구 비중) ’23년 자녀가 있는 청년20∼39세 가구 중, 한부모가구의 비중은 7.6%로 ’20년에 비해 0.9%p 높아짐

ㅇ (가구수)청년 한부모가구 수는 ’23년(8만1천 가구)에 ’20년(9만3천 가구)보다 12.6% 감소함


□ (가구주 성별 구성) 청년 한부모가구는 여자 가구주가 78.2%를 차지한 반면, 양부모가구는 남자 가구주가 73.9%를 차지함

ㅇ (연령별) 30대 한부모 가구주의 비중(89.9%)이 양부모(95.7%)보다 낮은 반면, 20대 비중은 한부모(10.1%)가 양부모(4.3%)보다
높음


□ (가구원 구성) 청년 한부모가구 중 ‘모와 자녀’만으로 구성된 가구가 66.9%로 가장 많고, ‘부와 자녀’는 16.9%를 차지함


□ (성·연령별 한부모가구 비중) 유자녀 청년가구 중, 여자 가구주의 한부모가구 비중은 20대 초반(42.4%)에 가장 높고, 30대 초반(18.3%)에 가장 낮음

2. 가구주 경제활동
□ (가구주 등록취업) ’23년청년 한부모가구주 등록취업비율은 65.0%, 양부모가구주는 86.9%임
ㅇ (성별) 남녀 가구주 모두 한부모 가구주 등록취업 비율이 양부모 가구주보다 낮음

3. 가구주 소득 ※20∼39세 가구주의 상시임금근로 연간 중위소득임
□ (가구주 중위소득) ’23년 청년 한부모 가구주(2,733만원)의 상시임금근로 연간 중위소득은 양부모 가구주(5,197만원)보다 낮음
ㅇ (연령별) 가구주 연령이 높을수록 한부모와 양부모 가구주의 연간 중위소득 차이가 커짐

4. 가구주 주택소유
□ (가구주 주택소유 비중) ’23년 청년 한부모 가구주(24.0%)의 주택소유 비중은 양부모 가구주(47.7%)보다 낮음
ㅇ (연령별) 가구주 연령이 높을수록 한부모와 양부모 가구주의 주택소유 비중 차이가 커짐

5. 거처유형 및 주거면적
□ (거처유형별 비중) ’23년 청년 한부모가구의 아파트 거주 비중은 54.7%, 단독주택 24.6%, 연립‧다세대주택 15.2%임
ㅇ 아파트 거주 비중은 양부모가구가 높고, 단독주택 및 연립‧다세대주택 등은 한부모가구가 높음


□ (공동주택 주거면적별 비중) ‘23년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한부모가구의 주거면적은 ‘40㎡초과∼60㎡이하’ 비중이 가장 높음
* 공동주택: 아파트, 연립주택, 다세대주택을 의미
ㅇ 양부모가구는 ‘60㎡초과∼100㎡이하’ 비중이 가장 높음

※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이전글, 다음글
사업보고서 등에 대한 조사·감리결과 조치 - 제16차 증권선물위원회(’25.9.10.) 조치 의결
2023년 『청년(20∼39세) 한부모가구의 사회·경제적 특성 분석』
통화신용정책보고서」(2025년 9월)

청주상공회의소

(우)28514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106 (북문로2가) 청주상공회의소 본관

Copyright (c) 2017 cheongjucci, All Right Reserved.